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4. - 음정(4) "귀로 들어보는 음정의 울림"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6. - 화성(2) "3화음" , "화성의 자리 바꿈"



화성 (1) "코드의 형성"


* 음악의 수직적 구성 요소라 불리는 코드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기초 이론을 배우고,
  그렇게 만들어진 코드를 어떻게 부르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적인 코드의 구성 - 안정적인 음을 바탕으로 하여 형성

 3화음이라고 하는 것은 코드를 구성하는 음의 갯수가 3 개라서 붙은 명칭입니다.
 그렇다면, 4화음이라고 한다면 그 코드를 구성하는 음의 갯수가 4 개라는 얘기겠죠?

 우선, C major scale, 즉 다 장조로 코드를 구성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C       D      E      F         G       A       B       C
        1       2      3      4         5       6       7       8

 위의 그림이 무엇인지는 다들 아시죠? 음의 이름과 다 장조의 가장 기본적인 "C" 음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도수 관계죠~

  음정을 공부하셨던 분들이라면, 완전 1도나 완전 8도 이외의 음 중 가장 안정적으로
 들리던 음이 어떤 건지 기억하실 겁니다. 즉 완전 5도의 음이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래서, 왼쪽 그림과 같이
  완전 1도의 음에 완전 5도의 음을 우선 겹쳐줍니다.
  그 다음에 할 일은 3화음이라고 했으니까 나머지 하나의 음을
  찾아서 겹쳐줘야죠?
 

 다음 그림 1, 12번을 제외한 나머지 2번부터 11번까지는 완전 1도, 완전 5도의 음만
 그대로 두고 나머지 한 음을 선택한 것입니다. 이 중에 어떤 것이 안정적으로 들릴지는
 음정 공부하셨던 분들이라면 아실 겁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2      3       4      5       6        7         8          9        10      11     12

 혹시 피아노가 바로 옆에 있으신 분들은 하나씩 쳐 보면서 확인하는 것도 좋습니다.
 피아노가 없으시다면 제가 저번 시간에 쓴 "귀로 들어보는 음정의 울림" 강좌 를 보고
 오셔도 좋습니다. 링크 따라 가셨으면 "Back" 버튼은 없지만, "Backspace" 누르시면
 이 곳 강좌로 다시 돌아오는 건 다들 아시죠?
 
 위의 그림들을 분류하자면,
 2,7,8 - 짜증나는 소리죠~ 단 2도 관계 음정이 숨어있죠...
 11     - 도와 시 사이는 장 7도 관계지만, 도가 만약 위에도 붙어 있다면 단 2도가 되기
            때문에 불안한 소리입니다.
 3,6,9,10 - 무난한 소리들입니다.
 4,5          - 가장 안정적으로 들리죠~
                  1음과 3음 사이도 3도 관계, 3음과 5음 사이도 3도 관계

 이제 감이 잡히시나요? 기본형 그림인 1,12 와 짜증나는 소리인 2,7,8 을 제외하고는
 전부 다 코드가 될 수 있는 그림들입니다.

 cf. 9,10,11 의 그림들은 3rd음이 생략된 4 화음의 분류에 들어갑니다.
       9,10,11 과 3의 그림들은 차후에 설명하겠습니다.


 가장 밑의 음을 Root 음이라고 할 때,

 Root, 장 3도, 완전 5도로 구성된 코드를 "Root음" chord  으로 씁니다.
 즉, 5 의 경우가
C chord 입니다. 장 3도음과 완전 5도음은 단 3도 관계로 좋습니다.

 Root, 단 3도, 완전 5도로 구성된 코드를 "Root음" m chord 로 씁니다.
 즉, 4 의 경우가 Cm chord 입니다. 또는 Cmin 으로 쓰기도 합니다. (C minor 마이너)
 단 3도, 완전 5도음의 관계는 장 3도 관계로 역시 안정되어 있습니다.

 Root, 완전 4도, 완전 5도로 구성된 코드를 "Root음"sus4 chord 로 씁니다.
 즉, 6 의 경우가 Csus4 입니다. (읽는 것은 서스 풔~~~  or 서스펜디드 풔라고 읽습니다.)
 완전 4도음과 완전 5도음의 관계는 장 2도 관계로 살짝 긴장된 느낌이 납니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첫쩨, 1도, 3도, 5도인 음으로 구성된 화음이 3 화음이다.
 둘째, 3도에 오는 음이 어떤 음인가에 따라서 코드가 달라진다.
        Root 음이 C 음이고, 장 3도인 음이 있는 경우 -> C chord
        장 3도음이 반음 Down 되서 단 3도인 경우    -> Cm chord  
        장 3도음이 반음 up 되서 완전 4도인 경우      -> Csus4 chord




 그럼, 이제 다 장조에서 기본 코드들인 root, 3rd, 5th 음을 그려보고
 코드의 이름들을 표시해볼까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Bdim 은 뭘까요? 시와 파 사이는 완전 5도가 아닌 감 5도인 음정 관계입니다.
 Root - 단 3도 - 감 5도 인 Chord 를 diminished 코드라고 합니다.
 그런데, 일반 대중가요 화성에서는 diminished 코드가 3화음이 아닌 4화음인 코드라서
 화성 세번째 시간 이후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코드들을 라틴 숫자로 표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C major scale, 즉 다장조이므로
 C 음부터 B 음까지 I ~ VII 로 숫자를 매기면, 차례대로
 I  -  IIm  - IIIm  - IV  -  V  -  VIm - VIIdim  - I 이 됩니다. 장조에서는 이것이 변함
 없습니다. 이렇게 해서 외우면 조옮김해서 연주하거나 할 때 편하겠죠?

 하나만 더 설명하고 끝내도록 하겠습니다. 다 장조의 코드에서 위 그림들을 보시면 Cm,
 D, E, Fm, Gm, A 등의 다른 코드가 나오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D chord 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D chord 의 구성음은 Rood, 장 3도, 완전 5도의
 음인 레, 파#, 라입니다. 그런데, 파#은 다 장조 음계에서 오지 않는 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D chord 대신에 Dm chord 가 쓰였습니다.

 그.렇.지.만, D chord 가 전혀 쓰이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이처럼, 원래 음계 밖의 음으로
 화음을 만든 경우를 차용화음이라고 합니다. 즉, 다른 음계의 화음을 빌려다 쓴다는 얘기입니다.
 

 쓰다보니 내용이 길어졌습니다. "3화음이면 간단하게, 1도, 3도, 5도로 구성된다"는
 사실 하나만 갖고도 꽤 길게 풀어쓴 것 같습니다. 저또한 음악 비전공자로서 비전공자의
 입장에서는 도대체 코드를 구성하는게 왜 코드가 1도, 3도, 5도로 구성되는지조차
 이해하기 힘들 때도 있습니다. 아쉽게도, 시중의 거의 모든 교재며, 인터넷의 어디를
 가더라도, 제가 궁금해 하는 부분들에 대해 설명을 찾기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갑갑한
 마음에 이런 극단적(?)인 방식의 설명을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가끔씩 글을 올릴 수 밖에 없지만, 앞으로도 이런 방식의 설명을 올릴 것입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4. - 음정(4) "귀로 들어보는 음정의 울림"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6. - 화성(2) "3화음" , "화성의 자리 바꿈"


Posted by Orpheus
   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3. - 음정(3) "음정의 복습"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5. - 화성(1) "코드의 형성"



음정 (4) "귀로 들어 보는 음정의 울림"


* 음정을 실제로 들어보고 평가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이 평가란 것은 주관적인 내용입니다.
  저의 경우는 "밝고 조화롭게 들리는 것"을 10점 주고,
  "지저분하고 명확하지 않게 들리는 것"을 0점 주고, 서로 비교해보겠습니다.

  여러분께서도 이것을 각자의 느낌대로 만들기 위해 느끼시는 것을 적어보세요~
  이명동음적 음정은 한 번만 듣도록 하겠습니다. "증 1 도" = "단 2 도" 이므로
  "단 2 도"만 듣도록 하겠습니다.

* 마우스를 그림에 올리면 소리가 들립니다.


        (1) 단 2 도         (2) 장 2 도         (3) 단 3 도         (4) 장 3도
                             

        (5) 완전 4 도      (6) 증 4 도         (7) 완전 5 도      (8) 단 6 도
                             

        (9) 장 6 도       (10) 단 7 도        (11) 장 7 도      (12) 완전 8 도
                             

제 귀에는     완전 8도가 제일 무난하게 들립니다.
그 다음에는  완전 4도, 완전 5도인데 5도가 4도보다 약간 밝게 들립니다.
그 다음에는 장 3도, 단 6도, 단 3도, 장 6도 정도가 안정적으로 들리고,
그 다음에는 장 2도, 단 7도~~
마지막으로는 증 4도, 단 2도, 장 7도인데 단 2도가 더 지저분하게 들리네요~~

증 4도 같은 경우도 원래 안정적인 음은 아닌데 저는 완전 5도 다음으로 좋아합니다.

여러분들도 나름대로 점수를 매겨보셨쎄여?
안정적으로 들리는 음들, 8도를 제외한 4도, 5도, 3도, 6도 등은
앞으로 얘기할 화성의 구성음 중 중요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자~~ 여기서 잠깐!!!
앞에서 음정 이론등을 공부하셨던 분은 장 7도의 자리 바꿈꼴이 단 2도가 된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단 2도, 장 7도음 둘 다 동일하게 불안정하게 느끼신 분들은 상관없지만, 저처럼
단 2도가 장 7도보다 더 불안하게 들리시는 분들을 위해 제 나름대로의 의견을
얘기하자면....

두 음의 사이 거리가 멀면 멀수록 약간은 안정적으로 들리는 것 같습니다....
만약 저랑 단 2도 관계인 친구가 있다면, 마주 볼 땐 마구 때려 주고 싶고 하지만,
그나마 서로 등을 돌리고 보면 (장 7도가 되면) 그나마 버틸만 합니다...
 
                             


또는 아예 한걸음 더 물러서서 (한 옥타브 더 떨어져서) 단 9도 사이가 되면

                             

단 2도 친구가 날카로운 목소리를 내네요~ ㅡㅡ;;; 그렇지만, 서로 팔이 안 닿으니까 싸우지 않죠?



다음 시간에는 음악의 수직적 요소인 화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3. - 음정(3) "음정의 복습"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5. - 화성(1) "코드의 형성"
Posted by Orpheus
   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2. - 음정(2) "자리바꿈 음정의 계산"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4. - 음정(4) "귀로 들어보는 음정의 울림"


음정 (3) "음정의 복습"


1. 음정의 계산
   (1) 밑의 음을 1도로 계산하여 차례대로 올라가면서 몇 도인지 계산한다.
        이 때, 앞에 붙은 #, b 은 없는 것으로 생각하고 계산
     - ex. "#도 ~ 라b" ---> "도 ~ 라" 로 계산하여 6 도 관계  

   (2) "도 ~ 라" 가 어떤 6 도인가?
        "도"와 "라" 음 사이에 "미~파"인 반음이 하나 존재하므로 장 6도

         표 1-1.
                 * 음정        온음 개수       반음 개수     sum : 온음을 2, 반음을 1로 계산하면
         도도       완전 1도           0                   0                  0
         도레          장 2도           1                   0                  2
         도미          장 3도           2                   0                  4
         도파       완전 4도           2                   1                  5
         도솔       완전 5도           3                   1                  7
         도라          장 6도           4                   1                  9
         도시          장 7도           5                   1                 11
         도도       완전 8도           5                   2                 12

   (3)                        <--   완 전  --> 
           겹감  <--  감                         증 --> 겹증
                               <- 단 <-> 장 ->
         
         #도 ~ 라   : 장 6 도에서 반음만큼 사이가 가까워지므로 단 6도
         #도 ~ 라b : 단 6 도에서 반음만큼 사이가 가까워지므로 감 6도

   (4) 옥타브 관계 이동 : "레" 와 "높은 레"는 장 2도와 장 9도 즉, 옥타브 관계인 음
        그러므로, 7을 더하거나 빼준다. 2 + 7 -> 9,     9 - 7 -> 2
 
   (5) 두 음정의 자리바꿈
     - ex. 장 6도 -> 합쳐서 9가 되야하므로 3도,
                      -> 장의 반대인 "단"이 되므로 단 3도...
     - 자리 바꿈할 경우 (3) 의 표에서 "완전"을 중간으로 좌우가 바뀌는 것으로 생각하면 쉬움  





* Whole-tone ?   Semi-tone?
     - 온음, 반음의 영어 이름일 뿐입니다. 온음은 반음 두개가 합쳐져서 이뤄진 것.


   (6) 이명동음적 음정의 발생은 표 1-1. 을 이용하여 다음처럼 알 수 있습니다.
        음정                      sum(semitone의 합)
     - 완전 1도는                                  0
     - 증 1 도는                                    1
     - 겹증 1도는                                  2

     - 장 2 도는                                    2
     - 단 2 도는                                    1
     - 감 2 도는                                    0
     - 증 2 도는                                    3
     - 겹증 2도는                                  4

     - 장 3 도는                                    4
     - 단 3 도는                                    3
     - 감 3 도는                                    2
     - 겹감 3도는                                  1
             .
             .
             .

     - sum 이 같으면 실제로 나는 음이 같으므로, 완전 1도 = 감 2도
                                                                  증 1도   = 단 2도 = 겹감 3도
                                                                 겹증 1도 = 장 2도 = 감 3도
 
     - 이런 식으로 이명동음적 음정은 항상 존재합니다. 외우실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음정 계산만 원리에 의해서 하실 줄 알면 동명이음적 음정 정도야 금방 판별해 내실 수 있습니다.


   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2. - 음정(2) "자리바꿈 음정의 계산"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4. - 음정(4) "귀로 들어보는 음정의 울림"
Posted by Orpheus
   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1. - 음정(1) "음정의 정의와 계산"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3. - 음정(3) "음정의 복습"


음정 (2) "자리바꿈 음정의 계산"


1. 두 음을 자리바꿈했을 경우의 음정
    - 위의 음을 한 옥타브 올릴 경우 7을 더해준다.
                        
            그림 1-1.  장 2도            장 9도
    - 같은 "레"음이지만, 한 옥타브 올릴 경우 "도"와 "높은 레"의 음정은 장 9도가 됨

    - 반대로, 위의 음을 한 옥타브 내릴 경우 7을 빼준다.
                        
            그림 1-2.  장 9도            장 2도

    -  다만, 8도 미만의 음정인 두 음중 위의 음을 밑으로 옮기면 다른 방법을 이용한다..
    -  장 2도 음을 예로 들면 위의 음을 한 옥타브 내렸을 때 "장 (2-7)" -> 장 -5도 가 되는데,
       이런 명칭은 이용하지 않는다.
                         
            그림 1-3.  장 -5도 X
                           단 7도 O (밑의 음을 기준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2. 8도 미만의 음 중 두 음을 자리바꿈했을 경우의 음정 계산 방법
    -  합쳐서 9도가 되도록 한다. 원래 3도였으면 9가 되기 위해 "6"
    -  완전 - 완전의 짝을 이루거나, 장-단끼리 짝을 이루거나, 증-감끼리 짝을 이룬다.        
                          
            그림 2-1.  완전 4도          완전 5도            장 3도               ?
    -  그림 2-1. 와 같이 완전 4도의 음 중 밑의 음인 도를 한 옥타브 올려서 음정을 계산하면
        파 -> 솔 -> 라 -> 시 -> 도 이므로 5도가 되고 그 안에 반음은 하나이므로 완전 5도가 된다.
        그렇지만 공식을 이용하면 9-4 = 5 가 되고,  완전 -> 완전이 되므로 "완전 5도"가 된다.
    -  장 3도의 음을 자리 바꿈하면 9-3 = 6  장 -> 단이 되므로 "단 6도"가 된다.    

장 6도 감 7도
           
            예제 1.  단 3도를 자리바꿈하면?            증 2도를 자리바꿈하면?
                       (마우스를 그림에 올리시면 답이 보입니다.)


   전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1. - 음정(1) "음정의 정의와 계산"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3. - 음정(3) "음정의 복습"

Posted by Orpheus

Orpheus의 기초음악 이론을 시작하며...

(1) 내 스스로는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지식들을 정리하며
(2) 또 제 블로그에 찾아주신 여러분들께는음악을 연주하거나 MIDI를 접하게 되면서,
       연주, 작곡, 편곡을 해나갈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시작합니다.
(3) 음악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내용상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4) 악보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리거나, 클릭하면 악보의 연주 또는 악보의 설명이 있습니다.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2. - 음정(2) "자리바꿈 음정의 계산"      


음정 (1) "음정의 정의와 계산"



1. 음정이란?
    - 정의           : 악보 표기 상에서 한 음과 다른 음 사이의 음높이의 차이
    - 선율적 음정 : 순차적으로 소리가 나는 경우의 음정
    - 화성적 음정 : 동시에 소리가 나는 경우의 음정
     
                                
            그림 1-1.  선율적 음정       그림 1-2. 화성적 음정
                              

2. 음정의 계산 방법
  (1) 첫 단계
     - 무조건 다장조로 생각하기 (무조건 # 이나 b 없애기)
     - 동일 음정은 1도, 악보 상에서 차례대로 1도씩 증가.
     - 두 음 중 아래쪽에 있는 음을 기본으로 계산하기
     
        그림 2-1.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예제 1.
도와 레는 2도관계

                                 #이나 b이 없다면 모두 "도~레" 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전부 2도 관계임    

  (2) 두번째 단계
     - 완전, 장, 단, 증, 감이란 말 붙여보기
     - 이를 위해서는 우선 다장조에서 기본음인 "도"를 중심으로 알아보기

            완전 1도  장 2도  장 3도  완전 4도  완전 5도  장 6도  장 7도  완전 8도  장 9도      

            * 1 2 3  4 5  6 7    의 앞에 말을 붙이면
            * 완장장 완완 장장   이 됩니다.
            * 세로줄로 읽으면 1완 -> 즉, 완전 1도
                                      2장 -> 즉, 장 2도
            * 도~파의 계산은 도부터 따져서 레(2도), 미(3도), 파(4도) 이므로 4도 관계이고,
                1 2 3  4
                완장장 완 이므로 완전 4도가 됩니다.
            * 8도를 넘어가도 완장장~~~~ 식으로 나간다고 생각하면 완전 8도, 장9도가 됩니다.


  (3) 세번째 단계
     - 완전, 장에서 온음과 반음이 각각 몇개씩인지 알아보기
     - 온음 한개는 반음 두개가 합쳐진 것과 같습니다.
     - "미~파" 사이는 반음 1개로 진행, "시~도"사이도 마찬가지로 반음 1개로 진행됩니다.

        표 1.
                 * 음정        온음 개수       반음 개수     sum : 온음을 2, 반음을 1로 계산하면
         도도       완전 1도           0                   0                  0
         도레          장 2도           1                   0                  2
         도미          장 3도           2                   0                  4
         도파       완전 4도           2                   1                  5
         도솔       완전 5도           3                   1                  7
         도라          장 6도           4                   1                  9
         도시          장 7도           5                   1                 11
         도도       완전 8도           5                   2                 12

 
  (4) 네번째 단계 (Final)
     - 완전, 장, 단, 증, 감, 겹증, 겹감의 관계 알아보기
     - 완전 1,4,5,8 도에서는 두 음 사이의 거리가 반음만큼 더 멀어지면 "증",
                                                               반음만큼 더 가까워지면 "감"이됩니다.

        표 2.
    sum의 변화  
        또는                               -1       -1        +1      +1    
  반음 개수의 변화
                                    겹감 <-- 감 <-- 완전 --> 증 --> 겹증



                            
        그림 2-2.     감 4도            완전 4도            증 4도            겹증 4도
                      (반음 좁아짐)                            (반음 멀어짐)  (증 4도에서 또 반음 멀어짐)

       
증 4도 감 4도 겹감 4도
         예제 2-1. (답은 그림에 마우스 올리시면 나타납니다.)


   
  - 장 2,3,6,7 도에서는 두 음 사이의 거리가 반음만큼 더 멀어지면 "증",
                                                              반음만큼 더 가까워지면 "단"이됩니다
  - 단 2,3,6,7 도에서는 두 음 사이의 거리가 반음만큼 더 멀어지면 "장",
                                                              반음만큼 더 가까워지면 "감"이됩니다


        표 3.
    sum의 변화  
        또는                              -1       -1                  +1      +1    
  반음 개수의 변화
                                    겹감 <-- 감 <-- 단 <--> 장 --> 증 --> 겹증

증 3도
        그림 2-3. (1) 파~라 이므로 우선 3도 관계의 음
                      (2) 파~솔, 솔~라 사이는 각각 온음 하나씩 움직인다.
                           그러므로 파~라까지는 온음 2개이므로, 표1에 의해 파~라는 장3도이다.
                      (3) 위의 음 라에 #이 붙어서 반음만큼 사이가 멀어지므로 증 3도이다.

단 3도
        그림 2-4. (1) 미~솔이므로 우선 3도 관계의 음
                      (2) 미~파는 반음, 파~솔은 온음으로 움직인다.
                           표1. 에 의해 장 3도는 온음이 두개일 때이다. 그런데,
                           반음만큼 두 음 사이가 가까워졌으므로, 단 3도

단 3도 단 3도
        예제 2-2. (답은 그림에 마우스 올리시면 나타납니다.)

장 3도 증 3도
        예제 2-3. (답은 그림에 마우스 올리시면 나타납니다.)


  (5) 이명동음적 음정
   
                                           
        그림 2-4.  레# 과 미b은 실제로 같은 소리가 나는 음이다.
                      다만 악보상에서 "도~레#" 과   "도~미b"은 다른 음정이다.
                      도~레# : 증 2도
                      도~미b : 단 3도


  - 표 1. 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보자.
  - 장 2도는 sum 이 2, 반음만큼 사이가 더 늘어난 증 2도는 2 + 1 을 해서 sum3 이 된다.
  - 장 3도는 sum 이 4, 반음만큼 사이가 더 줄어든 단 3도는 4 - 1 을 해서 sum3 이 된다.
  - 이렇게, 다른 이름의 음정을 같고 있지만, 실제 연주에서 같은 음이 나오게 되는 음정을
    이명동음적 음정이라고 한다.
               
        표 1.
                 * 음정        온음 개수       반음 개수     sum : 온음을 2, 반음을 1로 계산하면
         도도       완전 1도           0                   0                  0
         도레          장 2도           1                   0                  2
         도미          장 3도           2                   0                  4
         도파       완전 4도           2                   1                  5
         도솔       완전 5도           3                   1                  7
         도라          장 6도           4                   1                  9
         도시          장 7도           5                   1                 11
         도도       완전 8도           5                   2                 12


3. 문제
  (1) 다음 두 음의 음정을 계산하시오.
단 2도, 장 2도, 증 2도

  (2) 다음 두 음의 음정을 계산하시오.
증 4도, 밑의 음인 파를 기준으로 파~시 계산


* 본문 중의 "sum"이라는 용어는 음정 관계를 수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제 개인적인 용어입니다.
* 다음번 게재할 글에서는 음정에 대해 추가적인 이야기와 여러 음정을 실제로 들어보고,
  어떤 음정 관계인 음이 "깨끗하게" 들리는지, "불안하게" 들리는지 등등 이야기하겠습니다.
*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으로 가기 Orpheus의 기초음악이론 2. - 음정(2) "자리바꿈 음정의 계산" 
Posted by Orpheus

BLOG main image
by Orpheus

카테고리

Total (21)
(3)
Digitus (4)
Musica (14)

최근에 올라온 글